본문 바로가기
주식 코인 부동산 경제 이야기

2025년 한국전력, 8년 만의 실적 대반전과 대폭 증가하는 배당 매력

by 천사알루츠 2025. 4.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천사알루츠입니다. 오늘은 주식시장의 현명한 투자자들이 집중하는 한국전력의 성장 기회와 배당 잠재력에 대해 분석해드릴게요.

2025년 한국전력, 8년 만의 실적 대반전과 대폭 증가하는 배당 매력

최근 미래에셋증권의 '주식 초고수' 투자자들이 가장 적극적으로 매수하고 있는 종목들을 살펴보면, 한국전력이 순매수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전문가들의 선택 뒤에는 어떤 투자 근거가 있는지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한국전력, 에너지 비용 하락으로 실적 개선 본격화

한국전력은 2021년 2분기부터 2023년 2분기까지 약 2년간 영업적자를 이어오다가 2023년 3분기부터 흑자로 전환되면서 8년 만에 실적 회복의 징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실적 개선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실적 개선 주요 요인 세부 내용 영향
에너지 가격 안정화 유가, LNG, 유연탄 등 에너지 가격 하향 안정화 연료비 전년 대비 4.6% 감소 전망
원전 발전비중 증가 원자력 발전소 이용률이 90% 수준까지 상승 전력 생산 원가 절감
전력시장가격(SMP) 하락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인한 SMP 하락 구입전력비 약 15.2% 감소 예상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2023년 10월 평균 9.7% 인상 매출 증가 효과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한국전력의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큰 폭으로 상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증권사 매출액 예상 영업이익 예상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KB증권 - 4조 6000억원 256% 증가
하나증권 24조 4000억원 4조 1000억원 216.6% 증가
한화투자증권 24조 6000억원 3조 9000억원 203.5% 증가
에프앤가이드 24조 5569억원 3조 8981억원 200% 증가

특히 주목할 점은 신한투자증권의 목표주가 상향 조정입니다. 신한투자증권은 한국전력의 목표주가를 3만원에서 3만2천원으로 올리면서, 올해 영업이익이 14조 1225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70% 증가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한국전력 배당 정책, 7배 이상 대폭 증가 전망

실적 개선과 함께 가장 기대되는 부분은 바로 배당 정책의 정상화입니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한국전력의 주당배당금(DPS)은 작년 213원에서 올해 1500원으로 약 7배 이상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긍정적인 실적과 현금흐름 개선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로, 투자자들에게 큰 매력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구분 2024년 2025년 예상 증가율 비고
주당배당금(DPS) 213원 1,500원 604% 증가 7배 이상 증가
배당수익률 약 0.8% 약 6% 650% 증가 현재 주가 기준
영업이익 8조 3000억원 14조 1225억원 70% 증가 신한투자증권 예상

LIG넥스원, 중동 방산수출의 장기적 성장동력 확보

주식 초고수들의 순매수 2위는 LIG넥스원입니다. 비록 2025년 1분기 실적은 다소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방산 특성상 연말에 매출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연간 기준으로는 여전히 고성장이, 중장기적으로는 더욱 큰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1분기 부진 속에서도 빛나는 수주잔고 20조원 돌파

KB증권에 따르면 LIG넥스원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7,608억원(전년 대비 0.4% 감소), 영업이익 581억원(전년 대비 13.3% 감소)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할 전망입니다. 그러나 이는 작년 1분기에 인도네시아 경찰청 통신장비 납품이 일시적으로 집중되었던 높은 기저효과 때문입니다.

주목해야 할 점은 LIG넥스원의 수주잔고가 20조 1419억원(2024년 말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이라크와 체결한 3.7조원 규모의 천궁II 계약까지 반영하면 수주잔고는 24조원에 이르게 됩니다.

수주잔고 변화 2021년 말 2024년 말 증가율
총 수주잔고 8조 3073억원 20조 1419억원 142.5% 증가
수출 비중 15.5% 23.6% 52.3% 증가
향후 전망 이라크 천궁2 사업(3.7조원) 반영시 총 수주잔고 24조원 수준 예상
매출 전환 기간 약 6.1년치 일감 보유 (안정적인 장기 성장 기반)

중동 방공망 구축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

LIG넥스원은 2023년부터 중동국가들과의 대규모 방산 수출 계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UAE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국가와의 계약을 통해 수출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방공 미사일의 특성상 연속적인 수주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계약 국가 계약 시기 계약 규모 주요 내용
UAE 2022년 3조 7000억원 천궁-II 체계 납품 계약
사우디아라비아 2023년 4조 2500억원 방공 미사일 시스템 계약
이라크 2024년 3조 7000억원 천궁-II 체계 구축 계약

이미 천궁2를 도입한 중동 국가들은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인 L-SAM과 개발 완료 예정인 LAMD까지 순차적으로 구매할 가능성이 높아, 2030년 이후까지 안정적인 매출이 기대됩니다.

네이처셀, FDA 인정으로 글로벌 진출 청신호

순매수 3위를 차지한 네이처셀은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의 FDA 인정 소식에 급등했습니다. 4월 22일 코스닥 시장에서 29.88% 상승한 3만3250원으로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FDA, 한국 임상 3상 결과 인정으로 미국 시장 진출 가속화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이 네이처셀이 한국에서 진행한 조인트스템 임상 3상 시험을 미국 현지 품목허가를 위한 최종 임상시험으로 인정했다는 소식이 주가 급등의 핵심 원인입니다. 이는 네이처셀이 국내 임상 3상 시험을 보완할 소규모 임상만 진행해도 조인트스템의 품목허가 신청이 가능해졌다는 의미입니다.

FDA 지정 단계 시기 내용 의미
첨단재생의료치료제(RMAT) 지정 2024년 10월 재생의학 분야 혁신 치료제 인정 품목허가 심사기간 단축 가능
혁신적 치료제(BTD) 지정 2025년 3월 21일 한국 기업 세포치료제 최초 신속한 상용화 가능
최종 임상 인정 2025년 4월 한국 임상 3상 결과 인정 소규모 임상만으로 품목허가 신청 가능

조인트스템은 세계 최초 중증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을 위한 자가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로, 단 1회 무릎 관절강 내 국소 주사로 최소 3년간 통증 감소와 관절 기능 개선 효과가 지속되어 인공관절 수술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투자 전략: 배당 확대와 실적 개선, 규모의 경제 효과

이처럼 주식 초고수들이 주목하는 세 종목은 각각 다른 투자 포인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종목 주요 투자 포인트 투자 시점 위험/수익 특성
한국전력 에너지 가격 안정화와 원전 비중 확대로 실적 개선 및 배당 확대 단기~중기 상대적 저위험, 배당수익 추구
LIG넥스원 방산 수출 확대와 24조원에 달하는 수주잔고로 중장기적 성장 중기~장기 중위험, 성장성 추구
네이처셀 FDA 인정으로 글로벌 진출 가능성이 높아진 바이오 기업 단기~장기 고위험, 고수익 추구

투자 관점에서는 단기적으로는 한국전력의 배당 확대 효과를, 중장기적으로는 LIG넥스원의 안정적인 성장을, 높은 위험과 높은 수익을 추구한다면 네이처셀의 FDA 승인 진행 상황을 주시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 한국전력의 배당 확대가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에너지 가격 하락, 원전 발전 비중 증가, 전기요금 인상 등으로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나 현금흐름이 개선되었기 때문입니다. 신한투자증권은 주당배당금이 213원에서 1,500원으로 7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Q: LIG넥스원의 1분기 실적이 부진한데도 왜 투자 매력이 있나요?

A: 방산산업 특성상 4분기에 매출이 집중되며, 현재 20조원이 넘는 수주잔고와 중동 국가들과의 지속적인 수출 계약으로 장기 성장성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Q: 네이처셀의 조인트스템은 어떤 치료제인가요?

A: 중증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를 위한 자가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로, 단 1회 주사로 최소 3년간 통증 감소와 관절 기능 개선 효과가 지속됩니다.

Q: FDA의 BTD(혁신적 치료제) 지정이 왜 중요한가요?

A: BTD 지정은 임상시험 결과가 기존 치료법보다 월등히 우수함을 의미하며, 품목허가 확률이 높아지고 심사기간이 단축되어 신속한 상용화가 가능해집니다.

한국전력의 역대급 실적 개선과 배당 정상화, LIG넥스원의 중동 수출 확대, 네이처셀의 FDA 인정까지, 최근 주식시장의 유망 종목들은 각자의 성장 스토리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투자자 여러분의 포트폴리오에 맞는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이 글은 연합뉴스, 서울경제, 매경닷컴 등의 자료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